티스토리 뷰

반응형

 

K. Lewin인간 행동에 대해 아주 간단하지만 강력한 공식을 제시했습니다.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

B = f(P, E)
인간의 행동(B)은 개인(P)과 환경(E)의 함수(f)이다.

이 법칙은 인사관리직업적성 파트에서 자주 출제되므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암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인간 행동의 공식: B = f(P, E)


Lewin은 인간의 행동은 ‘개인(Person)’과 ‘환경(Environment)’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았습니다. 즉, 어떤 사람이 어떤 행동을 하느냐는 그 사람 자신의 특성(P)심리적 환경(E)함께 작용한 결과라는 것입니다.

  • B (Behavior) : 인간의 행동
  • P (Person) : 성격, 지능, 감각운동기능, 연령, 경험, 심신상태 등
  • E (Environment) : 인간관계, 설비, 온도, 조도, 소음, 먼지 등
  • f (Function) : 상호작용을 의미

 

2. 인간 행동의 결정 요인 : P와 E의 통합체


Lewin은 P와 E의 통합체를 심리적 상태(S)라고 불렀고, 이 상태가 인간 행동의 순간적인 배경이라고 했습니다. 이 심리적 상태는 다시 생활공간(Life Space, LSP)이라고도 표현됩니다.

LSP (Psycho-logical life space)란, 어떤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할지를 설명하는 심리적 장(field)입니다.

 

3. 예시


예) A라는 사람이 직장에서 갑자기 감정적으로 반응했다면?

  • P (개인 요인) : 최근 과로와 스트레스로 인해 예민한 상태
  • E (환경 요인) : 사무실 내부의 온도는 덥고, 상사는 계속 압박을 줌

→ 이 두 요인이 합쳐져서 ‘감정적 반응’이라는 행동이 나타난 것!

 

4. 시험포인트 요약!


  • 시험 공식 : B = f(P, E)
  • 기출 키워드 : 행동(B), 인간(P), 함수(f), 환경(E), 심리적 상태(S), 생활공간(LSP), 심리적 장(field)
  • 출제 예 : "행동은 무엇의 함수인가?", "생활공간이란?", "심리적 장의 구성요소는?"

K. Lewin의 법칙은 단순히 외우는 공식을 넘어서, 직무적성과 인사관리에서 개인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이론입니다.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행동을 이해하려면, 개인의 특성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이를 통해 더 나은 인사관리와 직무 배치가 가능해집니다.

 

 

 

 

[인간관계의 기제]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시험

인간관계의 기제란?사람은 사회적 존재입니다. 혼자 살아갈 수 없고, 항상 누군가와 관계를 맺으며 영향을 주고받죠.이때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보이는 반응, 행동, 감정의 흐름을 ‘인간관계의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안전보건표지] 산업안전보건표지 종류 총정리!

현장에 붙어 있는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초록색 표지판들 많이들 보셨을 거예요.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에서도 자주 출제되는 산업안전보건표지의 종류와 의미, 지금부터 쉽게 정리해 드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안전화] 안전화 구조부터 절연장화 전압 기준까지, 시험에 꼭 나오는 핵심 요약!

건설현장에서 안전화는 필수적인 보호구입니다.특히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에서는 안전화의 구조, 종류, 성능시험, 하중기준, 절연장화 전압 분류까지 다양한 포인트가 출제됩니다.오늘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