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건설현장에서 사고를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 바로 작업 전 점검입니다.
프레스, 크레인, 지게차, 리프트 같은 위험 기계·기구는 반드시 사용 전 점검을 해야 하고, 이것은 법으로도 정해진 의무사항입니다.

이 글에서는 실제 작업 현장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점검 항목과, 이를 뒷받침하는 관련 법규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에게도 꼭 필요한 내용입니다!

 

 작업 종류별 점검사항 요약


  • 프레스 작업: 클러치, 브레이크, 슬라이드, 정지장치, 방호장치, 금형, 전단기 점검
  • 로봇 작업: 전선, 매니퓰레이터, 제동장치 이상 유무
  • 공기압축기: 외관, 드레인밸브, 윤활유, 회전부 상태 점검
  • 크레인: 권과 방지장치, 주행로, 와이어로프 등
  • 이동식 크레인: 경보장치, 브레이크, 지반 상태
  • 리프트: 방호장치, 브레이크, 와이어로프
  • 곤돌라: 방호장치, 슬링와이어
  • 슬링 및 체인: 손상 및 매단 상태
  • 지게차: 조종장치, 유압장치, 바퀴, 조명 등
  • 구내운반차: 경음기, 조종장치, 결합상태
  • 고소작업대: 정지장치, 유압장치, 작업대, 완충장치
  • 화물자동차: 조종장치, 유압장치, 바퀴 점검
  • 컨베이어: 풀리, 회전체, 정지장치, 기어
  • 차량계 건설기계: 브레이크, 클러치
  • 방폭전기기기: 전선 및 접속부 상태
  • 중량물 취급: 올바른 자세, 보호구 착용
  • 양화장치: 자동장치, 하중 초과 여부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법 바로가기)


이 점검사항들은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규칙에 근거한 필수 조치입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 제5조: 사업주의 안전 확보 의무
    • 제20~21조: 유해·위험 방지조치 및 기계 점검 의무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용노동부령)
    • 제26조: 프레스 및 전단기 점검
    • 제32~33조: 공기압축기, 크레인, 리프트 점검
    • 제38조: 이동식 크레인 점검
    • 제98조: 지게차, 구내운반차 점검
    • 제102조: 고소작업대 점검
    • 제120조: 와이어로프, 슬링 점검
  •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점검 기록 보관, 안전관리자 의무 등 포함

※ 위반 시 과태료 또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니 반드시 이행해야 합니다.

 

 

실무 예시

프레스 점검 없이 작업하다 브레이크 고장 → 산업안전보건기준 위반 + 중대재해
지게차 바퀴 파손 확인 없이 작업 → 사고 발생 시 사업주 책임

 

“안전은 점검에서 시작된다”

작업 전 단 5분의 점검으로 수십 배의 사고를 줄일 수 있습니다.
법적 의무이자 생명을 지키는 수칙, 오늘부터 바로 실천하세요.

 

 

 

 

[산업재해코스트 계산법] 하인리히 이론으로 알아보는 손실비용 분석

건설 현장에서 사고는 단순히 병원비나 치료비로 끝나지 않습니다.보이지 않는 손실까지 포함하면 기업이 입는 피해는 상상을 초월합니다.하인리히(H.W. Heinrich)는 재해가 발생했을 때 기업이 감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BS의 4원칙 ] 브레인스토밍 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4가지 원칙

요즘 건설현장에서는 인명사고 등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건설안전에 대한 관심과 규제도 점점 강화되고 있죠. 하지만 현장의 안전관리자 인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산업재해의 직접·간접 원인] 시험에 꼭 나오는 핵심 개념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는 단순한 사고가 아닙니다. 보이지 않는 원인이 겹겹이 쌓여 터지는 결과물이죠.그래서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