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산업재해 직접원인
산업재해 간접원인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는 단순한 사고가 아닙니다. 보이지 않는 원인이 겹겹이 쌓여 터지는 결과물이죠.
그래서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시험뿐 아니라 실무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1. 산업재해의 직접원인

▶ 사고의 즉각적 원인, 눈에 보이는 원인
사람의 행동 또는 상태의 문제로 인해 바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입니다.

(1) 인적 원인 (불안전한 행동)

  • 위험장소 접근
  • 보호구 미착용
  • 기계 오작동
  • 방호장치 제거
  • 과속 운전
  • 불안전한 상태 방치

(2) 물적 원인 (불안전한 상태)

  • 방호장치 미설치
  • 복장, 보호구 불량
  • 기계 또는 작업장소의 결함
  • 조도 부족, 소음, 배기, 온도 등 작업환경 문제
  • 불량한 공구나 기계 사용

 

2. 산업재해의 간접원인

▶ 사고의 배경 원인, 보이지 않지만 중요한 원인
근본적으로는 이 간접원인이 존재하기에 재해가 반복되는 것입니다.

(1) 기술적 원인

  • 불안전한 기계, 장치, 설비, 보호구
  • 작업장소나 환경의 결함
  • 생산공정 또는 순서의 미비

(2) 인적 원인

  • 부적절한 교육
  • 나쁜 습관, 불안, 스트레스
  • 피로, 질병, 정신적 긴장

(3) 관리적 원인

  • 작업지시의 부족
  • 불합리한 인력배치
  • 점검·보건제도의 미흡
  • 작업지침 미준수
  •  

3. 재해 원인 구조도

직접원인과 간접원인은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간접원인 (기술, 인적, 관리적 요인)
      ↓
직접원인 (불안전한 행동, 상태)
      ↓
사고 발생

 

즉, 겉으로 드러나는 사고(직접원인)만 보지 말고 그 배경(간접원인)을 파악해야 진짜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꼭 기억하세요!

구분 핵심개념 예시
직접원인 당장 사고를 유발하는 행동 상태 보호구 미착용, 과속 운전, 방호장치 해제
간접원인 사고의 배경, 근본 원인 교육 부족, 피로, 설비 겷함, 작업지시 미흡

 

 

 

[BS의 4원칙 ] 브레인스토밍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할 4가지 원칙

요즘 건설현장에서는 인명사고 등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건설안전에 대한 관심과 규제도 점점 강화되고 있죠. 하지만 현장의 안전관리자 인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입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안전보건관리 조직형태] line형, staff형, line and staff형! 라인형, 스태프형

건설안전산업기사 필기에서 자주 출제되는 파트 중 하나가 바로 ‘안전보건관리 조직형태’입니다.line형, staff형, line and staff형 조직의 개념과 각 조직의 장단점을 정확히 구분하는 것이 핵심입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하인리히 재해법칙] 건설현장 사고, 사실은 300번의 경고였다?

건설현장에서 큰 사고가 났을 때, 그건 갑자기 벌어진 일이 아닙니다.이미 그전에 수많은 작은 위험 신호들이 있었다는 걸 알려주는 이론이 있죠.바로 하인리히 법칙(H.W. Heinrich's Law)입니다. 하

constructionsafety.tistory.com

 

 

반응형
댓글